<aside> 💡 <에너지 전환 패러다임과 유도 전동기> 시리즈를 읽고 오시면 더 재밌게 읽으실 수 있습니다!
</aside>
모터의 종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나뉘어질 수 있습니다. PHM의 관점으로 모터의 종류를 나눠보자면, (1) 전원 방식에 따라 교류/직류 구분, (2) 슬립 유무에 따라 동기 전동기(Synchronous motor)와 유도전동기(Asynchronous motor 혹은 Induction motor) 구분될 수 있습니다.
모터의 종류
원프레딕트에서는 상기 이미지 중에서는 기본적으로 **교류 전동기(AC motor)**를 중심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상단의 모터 종류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교류 전동기는 동기 전동기(Synchronous Motor)와 유도 전동기(Asynchronous or Induction Motor)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 이름에 나타난 것처럼 두 전동기 간의 가장 큰 차이는 동기/비동기 여부입니다.
유도 전동기의 회전 원리
유도 전동기는 고정자에 흐르는 3상 교류 전류에 의해 모터 내부에서 회전자계(회전하는 자기장)가 형성이 됩니다. 이를 따라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유도 전류가 자기장과 반응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 때 유도 전동기의 특징은 회전자계의 회전 속도와 회전자의 회전 속도가 약간의 차이가 생기고 이를 슬립(slip)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이 때문에 비동기 전동기로 불리기도 합니다. 반면, 동기 전동기는 회전자의 설계가 유도 전동기와 완전 다르기 때문에, 공극의 회전자계와 회전자가 같은 속도로 동기되어 움직입니다.